족관절과 발의 주요관절들에 대한 공부
족관절과 발의 주요 관절들
족관절과 발은 인체의 중요한 부위로,
다양한 관절들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관절은 인체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체중을 지탱하며,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족관절과 발의 주요 관절 및 그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족관절 (Ankle Joint)
족관절은 종아리뼈(비골)와 정강뼈(경골)의
원위부와 발목뼈를 연결하는 경첩 모양의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발을 굽히고 펴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인체의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발의 주요 관절들
1. 거퇴관절 (talocrural J.)
이 관절은 경골(tibia), 비골(fibula), 그리고 거골(talus) 사이의 관절로 구성되며,
경골과 비골의 말단이
거골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 거골의 활차면 + 경골의 원위 말단부
+ 양쪽과(malleolus)에 의해 형성
주로 한 축을 중심으로 움직임이 일어납니다(경첩관절).
• 주로 발의 배굴(dorsiflexion)과
저 굴(plantar flexion)을 담당.
• 보행 시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2. 거골하관절 (subtalar J.)
: 거골과 종골 사이에 위치하는 관절로 구조적으로는 활막관절이며, 기능적으로는 평면관절로 분류됩니다.
거골과 종골의 후, 중, 전관절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관절로 발의 내번(inversion)과 외번(eversion) 움직임을 담당하는 주요 관절입니다.
• 걷기, 달리기, 점프 시 체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울퉁불퉁한 지형에서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횡족근관절 (transverse tarsal J.)
: 거골과 주상골 사이 + 종골과 입방골 사이의 관절
>> 일직선으로 족부 절단 시 편리해서, 이에 주목한 프랑스 외과의(Francois chopart)의 이름을 딴
쇼파르 관절(Choprt's J)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두 개의 축(종축과 사축)을 중심으로
3차원적 운동이 가능합니다.
• 주요 운동으로는 내번(inversion)과 외번(eversion),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이 있습니다.
• 회외(supination)와 회내(pronation)를 통해
발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조절합니다.
횡족근관절은 발의 적응성과 안정성을 위해
중요한 구조이며, 횡족근관절의 기능이 제한되면
발목과 무릎 관절에 추가적인 부담이 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운동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거골, 형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이유
*거골은 이 3가지 모든 관절에 역학적으로 관여하며,
거골의 형태는 발목과 발의 생체역학적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거골에 의해 만들어진 관절들은
전체 관절면의 약 70%가 관절연골로 덮여있음)
* 거골의 내외측 관절면의 반경 차이에 따라
발목의 회전 운동 범위가 결정됩니다.
* 거골의 형태 변화는 편평족(pes planus)과 같은
발 변형 또한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중족지 관절 (Metatarsophalangeal Joints)
중족골과 지골 사이에 위치하며,
발가락의 굽힘과 펴짐을 가능하게 합니다.
5. 족근 중족 관절 (Tarsometatarsal Joints)
족근골과 중족골 사이에 위치하여
발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족관절은 26개의 뼈와 수많은 관절, 인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어
우리 몸을 지탱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주춧돌 역할을 합니다.
족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발, 발목, 다리, 골반,
그리고 척추 등의 정렬 상태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평발은 발뿐만 아니라
전신의 정렬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양한 근골격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족관절은 단순히 발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전신 건강의 기초가 되는 관절입니다.
따라서 족관절을 잘 관리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전신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아프기 전 건강한 유지와 적절한 관리를 해줘야 함을
기억해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