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어깨통증, 옆으로 누워잘 수가 없어요 - 극하근(가시아래근) Infraspinatus M.
자칫 오십견의 통증으로 오해받기 쉬운
어깨 통증과 관련된 근육 중 하나인
극하근 Infraspinatus M.
![](https://blog.kakaocdn.net/dn/RnEgL/btrYSj7V8BH/vkMoQzT7tn23U2tiXWMk3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3G64e/btrYTMO2Hdj/0mQvCiPb9xkWCKMuPajWVk/img.png)
오늘은
"Infraspinatus"
이 근육을 알아보고 쉽게 외워보는 시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KmUYi/btrYRv18aqi/t2grfEndxRV5Ya1PwQIYs0/img.png)
Infra- 는 보통 근육 이름에 붙으면
'아래;아래쪽'을 가리키는 접두사로 사용된다.
그리고 spin(spine-)은
견갑골의 가시 부분을 지칭한다.
(극상근 supra/spin/tus와 동일)
따라서 극하근은
견갑골 가시(spin-)의 아래(infra-)에 붙어있는 근육
inpra- + spin + a(연결) / + - tus이라고
쉽게 근육의 위치와 이름을 외울 수 있다.
극하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https://blog.kakaocdn.net/dn/zWETB/btrYPCubLR0/CXs7oMhu5W7L8N9U47lQck/img.png)
이 극하근(가시아래근)은 극상근과 마찬가지로
rotator cuff 근육 중 하나이며,
견갑골의 극하와(infraspinous fossa)의
내즉 3/4 지점 [origin]에서 시작해서
상완골 대결절의 중간부 [insertion]에
붙게 된다.
[* 신경지배(innervation) - 견갑상신경 C5-6]
극하근 Infraspinatus M의 작용 (action)
이젠 극하근이 붙어 있는 근육의 결을 보며
작용을 이해해 볼 차례.
다시 한번 복습하자면,
근육의 작용(action)은?
정지점에서 >>> 기시점 방향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해야한다.
극하근이라는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이 근육은 크게 두 가지의 역할을 하게된다.
상완골 대결절의 중간부에 붙어
견갑골 쪽으로 당겨지면서,
(1) 상완골두를 견관절와에 고정
(견관절의 안정화)시키는 역할과
(2) 상완의 외회전을 담당하는 역할이다.
*이때 어깨의 외회전을 함께 하는 근육들로는
소원근(teres minor)과 후면 삼각근(postarior deltoid)이 있으니 참고하자.
극하근(가시아래근)에 트리거 포인트(TP)
극하근(가시아래근)에
트리거 포인트(TP)가 발생하게 되면
어떤 통증들이 나타날까?
![](https://blog.kakaocdn.net/dn/ckPcCE/btrYRVMYMIY/K4nHrL65xjuv5RKm2KGBMk/img.png)
#어깨전면통증
#견관절심부통
(심부에서의 깊숙하고 심한 통증)
#외회전통증
(특징적으로 외회전 시,
삼각근 쪽으로 방사되는 통증)
#어깨가동성저하
(운동제한)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극하근 건염 발생 시
#야간통으로 인해 누워 자기가 힘든 증상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상완 내전과 내회전의 제한으로 인해
어깨의 피로를 쉽게 느끼고
주먹 쥐는 힘 (#악력저하)가 함께 오기도 …
회전근개 근육 중 하나인 극하근은
위와 같은 운동 제한과 통증 양상으로 인해
"오십견"으로도 오해받기 쉬운 근육이 되버린 것.
말썽쟁이 근육임에 틀림없다.
+
어깨 통증 케어를 위한 재활 시에는
극하근은 근막적으로 함께 연결되는
'능형근과 승모근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근육이라는 점!
이 부분을 꼭 같이 기억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