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팔 뒤쪽과 손가락이 저리거나 얼얼한 느낌이 있어요 - 소원근 (작은원근) Teres minor M.
어깨 뒤에 작게 붙어있지만
통증 발현 시, 팔 통증과 손가락 저림,
혹은 얼얼한 느낌으로
기분 나쁜 통증을 만들어내는
회전근개 중 하나인,
작은 근육 소원근(작은 원근).
![](https://blog.kakaocdn.net/dn/TwQUk/btrYYpUtRXG/kVeQ3MN8ZWRSdoSdV6tlU1/img.png)
오늘은 "Teres minor" 이 근육에 대해
알아보고 쉽게 외워보는 시간.
Teres- 는 라틴어로 '둥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여기에 minor 가 붙어 근육의 크기가 작은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teres major라는 둥근 큰 근육인 대원근도 있죠)
소원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https://blog.kakaocdn.net/dn/sipcl/btrYTMwr90c/PS6aRIumSv9g18SFdRACt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yhjXM/btrY1nWqaLI/DV7Q6tAH4IzYGH0CtiSua1/img.png)
이 근육은
견갑골 후면의 외측연 상부 (2/3 지점)
소원근 건막부터 시작(origin)해서
상완골 대결절(의 가장 아랫부분)까지
이어져있으며(insertion),
회전근개의 1/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신경지배(innervation) - 액와신경 C5-6 ]
소원근 Teres minor M의 작용 (action)
![](https://blog.kakaocdn.net/dn/YL38a/btrYT8zaYX4/Uo2Gn9lpQhardgRJaFSib1/img.png)
이젠 소원근이 붙어 있는 근육의 결을 보며
작용을 이해해 볼 차례입니다.
소원근이라는 근육의 역할은
크게 3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 극하근과 함께 상완 외회전
2) 외전 및 신전 시, 견관절와에 상완골두 고정
3) 견관절 내에서 상완골두를 하방으로 당겨줌
(어깨 안정화)
*이때 어깨의 외회전을 함께 하는
근육들로는 극하근(infraspinatus M)과
후면 삼각근(postarior deltoid M)이 있습니다.
소원근(작은 원근)의
트리거 포인트(TP) 발생에 따른 통증 양상
![](https://blog.kakaocdn.net/dn/9atjb/btrYTovHPAR/9WCXeGaepeX6ptFva9RFb0/img.png)
소원근(작은 원근)의 트리거 포인트(TP)는
머리 위로 팔을 계속 들고 있거나
힘을 줘서 팔을 뒤로 보내는 경우,
야구 투수들의 동작 등과 같은
내회전 근육의 우세에 따라 발현하게 되며
이완성 긴장이 많이 일어나는 근육입니다.
이 근육에 TP가 발생하게 되면,
#어깨전면 - 깊숙하고 심한 통증.
#팔뒤쪽통증
#약지와 새끼손가락 저리고 얼얼함
#어깨 뒤쪽 국소통증
(동전크기, 혹은 손가락 한마디) 등의
통증 양상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소원근과 액와신경(Axillary N.)
![](https://blog.kakaocdn.net/dn/c3N9xe/btrYUvukTSI/NWCuOEE2uCeaYssUNsOuY1/img.png)
소원근과 밀접한 위치로 지나가는
액와신경(Axillary N.)은
경추 C5-6에서 나온 신경으로
액와신경의 뒤쪽 가지(posterior/ lower branch)는
삼각근과 소원근에 분포합니다.
그러나 이 신경 가지(branch)가
소원근의 약화(weakness),
위축(atrophy) 등으로 인해
신경의 통로(지나가는 길)가 포착될 경우,
삼각근의 뻐근한 통증,
피부감각 이상, 팔 뒤쪽의 통증,
4-5지 손가락의 저림 증상 등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회전근개(rotator cuff) 중 하나인
소원근의 문제는
거의 단독적으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위치 상, 대원근과 상완 삼두근,
하부 승모근까지 함께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