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해부학공부 (6) 썸네일형 리스트형 족관절과 발의 주요관절들에 대한 공부 족관절과 발의 주요 관절들족관절과 발은 인체의 중요한 부위로, 다양한 관절들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관절은 인체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체중을 지탱하며,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족관절과 발의 주요 관절 및 그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족관절 (Ankle Joint)족관절은 종아리뼈(비골)와 정강뼈(경골)의 원위부와 발목뼈를 연결하는 경첩 모양의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발을 굽히고 펴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인체의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발의 주요 관절들1. 거퇴관절 (talocrural J.) 이 관절은 경골(tibia), 비골(fibula), 그리고 거골(talus) 사이의 관절로 구성되며, 경골과 비골의 말단이 거골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있.. #05 팔 뒤쪽과 손가락이 저리거나 얼얼한 느낌이 있어요 - 소원근 (작은원근) Teres minor M. 어깨 뒤에 작게 붙어있지만 통증 발현 시, 팔 통증과 손가락 저림, 혹은 얼얼한 느낌으로 기분 나쁜 통증을 만들어내는 회전근개 중 하나인, 작은 근육 소원근(작은 원근). 오늘은 "Teres minor" 이 근육에 대해 알아보고 쉽게 외워보는 시간. Teres- 는 라틴어로 '둥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여기에 minor 가 붙어 근육의 크기가 작은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teres major라는 둥근 큰 근육인 대원근도 있죠) 소원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이 근육은 견갑골 후면의 외측연 상부 (2/3 지점) 소원근 건막부터 시작(origin)해서 상완골 대결절(의 가장 아랫부분)까지 이어져있으며(insertion), 회전근개의 1/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신경지배(.. #04 어깨통증, 옆으로 누워잘 수가 없어요 - 극하근(가시아래근) Infraspinatus M. 자칫 오십견의 통증으로 오해받기 쉬운 어깨 통증과 관련된 근육 중 하나인 극하근 Infraspinatus M. 오늘은 "Infraspinatus" 이 근육을 알아보고 쉽게 외워보는 시간이다. Infra- 는 보통 근육 이름에 붙으면 '아래;아래쪽'을 가리키는 접두사로 사용된다. 그리고 spin(spine-)은 견갑골의 가시 부분을 지칭한다. (극상근 supra/spin/tus와 동일) 따라서 극하근은 견갑골 가시(spin-)의 아래(infra-)에 붙어있는 근육 inpra- + spin + a(연결) / + - tus이라고 쉽게 근육의 위치와 이름을 외울 수 있다. 극하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이 극하근(가시아래근)은 극상근과 마찬가지로 rotator cuff 근육 중 하나이며.. #03 어깨 충돌, 팔을 못 들어올리겠어요 -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 아주 작은 근육이지만, 어깨 통증 환자들에게는 아주 큰 고민거리가 되는 근육 중 하나가 바로 이 극상근(가시위근) Supraspinatus이다. 오늘은 "Supraspinatus" 이 근육이름을 쉽게 외워보자 사진상 보이는 spine of scapula는 견갑골의 극(가시) 부위를 나타낸다. 그 위의 supraspinous fossa는 극상근이 들어가 붙어있는 오목한 부위이다. Supra- 는 보통 근육이름에서 '위에; 위쪽'을 가리키는 접두사로 사용되며, Spin(spine -)은 일반적으로 척추, 여기서는 견갑골의 가시 부분을 지칭한다. 그래서 완성된 것이 견갑골 가시(spin-)의 위(supra-)에 붙어있는 근육이라고 해서 supra- + spin + a(연결) / + - tus = "supras.. #02 목이 짧아 보이고, 어깨가 항상 무거워요 ㅣ어깨올림근, Levator scapula muscle (견갑거근) 2편 목과 견갑골을 연결시켜주는 견갑거근 (Levator scapula M.) 어깨에 항상 긴장감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 중 이 견갑거근이 멀쩡한 사람을 본적이 없다. 또, 남들보다 본인의 목이 짧은것 같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견갑거근을 제대로 풀어준다면 숨어있는 목이 1cm는 길어질 수 있다고 본다. 이 근육의 이름을 외울 때는 근육이 하는 일(작용)을 생각하면 바로 외워진다. 견갑(견갑골)을 거(거상, 끌어올리는)상 시키는 일을 하는 근육이다. 영어로도 마찬가지, "Levator" 이 단어는 elevator(엘리베이터)와 너무나 흡사하지 않은가? 엘리베이터는 사람이나 화물을 위 아래로 나을 수 있도록 해준다 + "scapula" (=견갑골) = 즉, 견갑골을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부착.. #01 익숙한 만남일껄? l 등세모근, Trapezius muscle (승모근) 1편 해부학 공부에 보통 첫번째로 등장하는 등세모근, 이제는 운동 좀 한다는 일반인들조차 기본적으로 '승모근'이라는 단어를 아는듯하다. 등에 넓게 삼각형 모양으로 붙어있다고 흔히 말하지만 양 쪽을 합치면 다이아몬드(사다리꼴) 모양이며, 넓게 붙은 만큼 하는 일도 많다. 이 근육의 이름을 외울때는 근육 모양인 사다리꼴 (영어로trapezium 트라페지움)을 되내이며 외웠더니 쉽게 외워지고, 모양도 기억하기 쉬웠다. *Trapezius 사다리꼴은 trapezium >> 등세모근(승모근)은 사다리꼴모양 >> trapezi.. 뒤에만 us (우리몸에 붙어있자나..!) 이런식으로? 외웠던 기억이 있다… ㅎㅎ 외우는 방법은 각자 편한데로 가자 우리 몸의 모든 근육은 근육이 붙어있는 방향 (근육의 결)에 따라 근육이 움직..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