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끄적끄적

이 논문 결과, 믿어도되는거 맞아?

728x90

출처 - 크라우드픽

대학원을 다니는 동안

논문에 대한 질적 분석 평가 수행 방법을 배우고

논문을 읽어보며 이 논문을 인용할지 안할지해도되는 논문인지 아닌지를 알아보는 법을 배웠었다.

 

쉽게말해 어떤 광고의 내용을 보면 저 광고를 믿어도되는건지 과장광고인지를구별하는 느낌이다.

 

그런데 또 안하다보면 다 까먹는법...사실 이미 다 까먹었고 감이 안온다.

 

그래서 틈틈히 눈에 보이는 논문이 있으면 다시 읽어보려한다 

 


 

1) 논문 검색과 논문 선정 과정

 

- 어떤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했는지 

- 키워드는 무엇을 사용했는지

 

 

 

2)  질적 분석 평가 기준

 

1. 명확한 연구 목적이 제시되어 있는가?

연구의 목적은 연구의 활용도와는 다른 것임을 구분

 

2. 연구에 중요한 변수(성별, 나이 등)가 기재되어 있는가?

연구의 결과는 연구의 변수(성별, 나이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 변수들에 대해 좀 더 자세한 내용 기재를 해 줄 것

 

3.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에서 선정과 제외 기준이 기술되어 있으며, 기준이 적절한가?

보고서 작성 시, 제외, 탈락, 참여 거절한 연구 대상자 수에 관한 내용 명시

연구 대상자 인원 선정에 대한 신뢰성을 더해줄 수 있는 부분

 

4. 조작적 정의는 서술되어 있는가?

필요 단어에 따른 조작적 정의를 서술하지 않을 경우

타 연구와의 비교에 있어서 활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구의 결과 또한 달라질 수 있다.

 

5. 통계 및 자료처리 방법은 적절한가?

타당성과 신뢰성을 위해 정확한 통계와 자료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저자(연구년도)

/ 연구목적

/ 연구의 변수

/ 기타사항(ex/대상의 특이성)

/ 조작적 정의 필요여부와 서술여부

/ 보고서 작성 제외 탈락기준 / 통계처리방법

 

 

논문을 읽는것도 티비를 보듯

맞는 정보와 그냥 가져온 정보가 있을 것이다.

이를 구분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