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pQ0WS/btsjseEUn3W/QLK67J4FZJ4PBVHkFpEhl0/img.jpg)
먹토 다이어트,
먹고 토하는 것은 위장이 원래 하는 일을
역행하게 만드는 일입니다.
지나친 다이어트 강박으로
먹고 토하는 습관을 가진 사람들이 종종
이 고민에 대해 얘기합니다.
이 먹고 토하는 습관은
식도손상, 치아손상, 얼굴형 변형, 위장장애 등의
많은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걸 알면서도 말이죠.
![](https://blog.kakaocdn.net/dn/mraiJ/btsjj96IVv3/oEYqH93kisdk69K1Od7Ae0/img.jpg)
그치만 어느 순간 부터인지
이 “먹토”라는게 다이어트의 방법 중
하나 처럼 여겨지고 있다는 걸 들었습니다.
심지어 제 친구도 이걸 겪고 있었던걸
최근에 알았어요.
‘아.. 주변에 흔한 일일 수 있구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구토습관이 부르는
인체에 대한 부정적 영향들과 부작용들을
다시 한번 일깨울 필요가 있을 듯하여
이번 포스팅을 적게 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KXCvF/btsjjDs7WXx/YFRo3k1V0rUOK6ihcL3HbK/img.jpg)
먹토의 습관은
위와 같은 건강 문제(식도손상, 치아손상,
얼굴형 변형, 위장장애)와 관련하여
우리 몸의 호르몬까지도 영향을 끼친다.
오늘은 구토를 유발하는 식이 장애 중 하나인
“신경성 폭식증”에 대해 알아보고
먹토가 호르몬 이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내용에 주목하여 살펴보려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B1Paa/btsjjC8Oebo/XzWcy8Zkg8BSO6zkre888K/img.jpg)
주로 젊은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신경성 폭식증
신경성 폭식증은 구토를 유발하는
신체적, 정신적 또는 행동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러한 구토 행동은 체중 감량, 비만, 식도 염증,
장기 손상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대개 심리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우울증, 불안, 정신적 스트레스,
외모에 대한 불만, 자존감 부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로 여성에서 발생하며,
청소년과 젊은 성인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진단을 받은 환자들은 정신건강 치료,
영양 지원, 건강한 식습관 교육, 구강 건강 유지 등
다양한 치료와 지원을 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심각한 체중 감량으로 인한
영양실조나 체액 공급 부족 등이 있는 경우,
정신 건강에 대한 치료 뿐아니라
신체적 치료 (ex. 수액 요법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pjF3/btsjlXc0tJX/xLsFhavPT8JEKimQ8V3Dl1/img.jpg)
구토습관은 왜 안좋은지
좀 더 자세히 보자
이 신경성 폭식증에서 구토 습관은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구토를 하는 습관은
체내 수분을 감소시키며
신체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이는 신체의 호르몬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신경성 폭식증과 같은
구토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호르몬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m06c/btsjnb21xkT/7b4Ee3HxqOu0PTRmEBJjvK/img.jpg)
어떤 호르몬들의 작용에 부정적인가
구토로 인한 수분 감소로 인한
신체의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조절 (대응) 메커니즘
구토로 인해 체내의 영양분 부족은
체내의 호르몬 수준을 변동시킬 수 있습니다.
➖항이뇨 호르몬 (ADH) 변화
ADH는 신체의 수분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수분 부족 시 신체에서 더 많은 ADH를 분비하여
신장의 물 재흡수를 증가시킵니다.
그러나 구토로 인해 수분 감소가 발생하면
혈액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신체는 ADH 분비를 증가시켜
더 많은 물을 재흡수하려고 시도할 수 있습니다.
➖알도스테론 변화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조절합니다.
혈액의 농도가 높아지면 알도스테론 분비가 증가하여
신장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동시에 칼륨 배설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코르티졸 변화
코티졸은 부각된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입니다.
구토로 인한 수분 감소는 신체에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티졸 분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 변화
혈액의 농도가 높아지면 신체는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레닌을 분비합니다.
레닌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호르몬의 변화가 지속되거나 과도한 경우,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CB9z/btsjtzoDeRj/YyXmbVVbrzNEvPIyAJJbE0/img.png)
생리 주기에도 영향을 미치나?
구토로 인한 수분 감소로 혈액의 농도가 높아지면
뇌하수체-난소 수축 조절계에 있는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거나 이상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생리 주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식도 염증은 식도에 있는 세포들이 손상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상태로
이로 인해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기타 호르몬 변화
➖인슐린
인슐린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폭식증이나 구토 습관으로 인해
혈당 수치가 불안정해질 경우 인슐린 분비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성장 호르몬
성장 호르몬은 몸의 성장과 발달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폭식증이나 구토 습관으로 인해 영양분이 부족해질 경우
성장 호르몬 분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랩틴
랩틴은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그렐린과 반대로 식욕을 억제 시키는 호르몬 입니다.
그러나 폭식증으로 인해
랩틴 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분비 될 경우,
우리 몸은 랩틴에 대한 저항성이 생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식욕을 통제하기 더욱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은 여성 호르몬으로,
폭식증이나 구토 습관으로 인해
체중이 급격하게 감소할 경우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폭식증과 구토 습관은 위와 같은
여러 가지 호르몬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bD0D/btsjmuV4NAT/cSp6pzGsa8oNMc4UBhKa7K/img.jpg)
이미 생겨버린 먹토라는 좋지않은 습관은
쉽게 치료되지 않습니다.
먼저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본인의 치료의지를
계속 다잡아 나아가야할 것 입니다.
이러한 증상을 겪고 계시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꼭,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건강&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리 오트밀 건강한 효능과 먹는법, 부작용 총정리 (0) | 2023.09.26 |
---|---|
근육이완제 사용과 근손실: 사실과 오해 (0) | 2023.07.19 |
스트레스와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30-50대 중장년층, 현대인들을 위한 추천 영양제! (0) | 2023.05.09 |
다이어트 식욕조절ㅣ가짜 배고픔 신호들이 뭔가요?! #가짜배고픔에 속지말자 (0) | 2023.05.04 |
자도 자도 졸려요 . 잠을 많이 자는 원인 6가지 !! (0) | 2023.04.03 |